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장암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불상으로,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利川 長岩里 磨崖菩薩半跏像)'입니다.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長岩里 磨崖菩薩半跏像)은,

"태평흥국명 마애보살좌상(太平興國銘 磨崖菩薩坐像)"로도 불리며,

장암2리의 품무골산 아래의 마을앞을 지나는 서이천로 옆에 자리하고 있는데,

 

 

 

 

보물 제982호인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利川 長岩里 磨崖菩薩半跏像)은,

고려 초기인 981년(경종 6)에 조성된 마애불로,

이 마애불은 1982년 단국대학교 학술조사단에 의해 처음 조사되어 학계에 알려지게 되었는데,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은 대로상에 위치하고 있어,

불상 앞을 지나는 행인들의 예불 대상이 되어 왔는데,

마애불이 새겨진 바위의 전체 높이는 4m이며,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은 면이 고른 화강암을 다듬은 후,

불상이 새겨질 부분을 추가적으로 손질하여 불상을 조각 하였는데,

옷 주름의 표현은 대부분 선각으로 하였으며,

마애불의 불신과 머리 좌우에는 광배가 새겨졌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마모가 심해 확인하기 어려우며,

 

 

 

 

머리에는 관을 착용하고 있는데,

관모의 모서리 부분에는 금속제 장식을 달았던 원공이 남아 있고,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이 착용하고 있는 관모의 형태는,

대구 동화사 염불암 관음보살좌상이나 고령 개포동 마애보살좌상 등과 상통하는 점이 있는데,

관모 아래에는 머리카락이 반원형을 이루며 반복적으로 표현되고 있어,

이러한 표현은 논산 관촉사 석조보살입상, 안성 매산리 석불입상, 당진 안국사지 석불입상 등,

고려 전기에 제작된 거석불에서도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의 상호는 뺨과 아래턱이 발달한 형태이며,

목은 상호와 불신에 비해 짧고 양어깨는 넓게 표현 되었는데,

오른손은 연화 줄기를 잡고 있으며 왼손은 왼발 위에 올려 놓았으며,

연화 줄기는 관모 높이까지 길게 올라가 있으며 끝에는 연봉이 표현되어 있고,

통견 형태의 법의를 착용하고 있으며,

 

 

 

 

하반신은 상체보다 한단 앞으로 튀어나온 바위 면에 조각 하였는데,

다리는 반가좌의 형태이고,

반가좌와 관련하여 주목되는 부분은 마애불의 발을 올려놓는 연화족좌인데,

일반적으로 반가상의 연화족좌는 1기만 표현 되는데,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은 2기의 연화족자가 조각되어 있으며,

 

 

 

 

2기의 연화족좌가 마련되는 경우는 송나라 불상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는 특징으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의 도상은 송나라 불상의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았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발굴 조사를 통해서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 앞에 놓여 있었던 판석 2매 중 1매가,

원래 마애불의 보개로 사용되었던 판석임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보개로 사용되었던 판석의 상면 모서리에는 합각선이 도드라지게 조각되어 있고,

하면에는 48×9㎝크기의 홈이 파여 있으며,

홈의 규모는 마애불이 새겨진 바위 상단부의 다듬어져 돌출된 부분의 크기와 일치하고 있으며,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이 조각된 바위의 뒷면에는,

중앙에서 약간 좌측으로 치우쳐 종서로 음각되어 있는 명문이 있어,

 

 

 

 

명문은 총 3행으로,

1행에는 “태평흥국육년신사이월십삼일(太平興國六年辛巳二月十三日)”이라는 내용이 적혀있고,

2행과 3행은 마모가 진행되어 부분적으로만 판독이 되는데,

명문을 통해 볼 때 이 마애불은 981년에 조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속칭 "미륵바우"라고도 불리는,

커다란 화강암벽 전면에 걸쳐 얕게 돋을새김한 고려시대 마애보살상이며,

고려 초인 981년에 만들어진 작품으로,

연꽃가지를 손에 든 독특한 형식의 관음보살상으로,

"이천 장암리 마애보살반가상(利川 長岩里 磨崖菩薩半跏像)"입니다.

 

다음검색

저작자 표시 컨텐츠변경 비영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