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임하리에 있는 조선후기의 고택으로,

국가민속문화재 제184호인 "안동 오류헌 고택(安東 五柳軒 古宅)"입니다.

 

조선 숙종 때 대사성을 지낸 김방걸(金邦杰)의 셋째 아들인 김원중(金遠重)이

천곡(川曲)으로 분가하면서 지은 집이라고 하며,

 

원래는 임동면 지례리에 있었으나,

임하댐 건설로 이 지역이 수몰되어 1990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한 것으로,

안채는 분가 때(1700년대)의 건물로 추정되나,

사랑채는 현 소유자 김원택(金源宅)의 할아버지가 1920년에 크게 개축한 것이라 하며,

 

"□"형 안채와 "ㅗ"형 사랑채 및 중문간채가 튼 "□"자를 이루고 있으며,

사랑마당 왼쪽에 외양간을 설치 하였으며,

안채의 오른쪽에 방앗간을 설치하였고,

담 밖 뒤쪽 낮은 언덕에 제청(祭廳: 사당)을 배설 하였는데,

안채의 가운데는 마당 쪽으로 개방된 정면 3칸의 대청이 있습니다.

 

안채 대청의 보간은 1칸으로 너비가 좁은 편이며,

자연색 초석 위에 방주(方柱)를 세웠고 상부 가구(架構)는 3량가(樑架)로,

각대공(角臺工) 위에 마룻대를 올렸습니다.

 

안방부엌의 부뚜막 윗벽에는 벽돌 크기의 네모난 구멍을 5개소 내어서,

구들골이 막혔을 때 뚫을 수 있게 하였는데,

평소에는 벽돌로 막아놓았고,

재나 그을음은 윗목의 구들골 측면에서 끌어낼 수 있게 청소구를 설치 하였습니다.

 

사랑마루방의 상부는 5량가로 종보 위에 원형(圓形) 판대공(板臺工)을 세우고 마루도리를 올렸고,

이 집은 사랑마당·안마당·뒷마당 등 마당의 성격에 따른 구분이 건물과 담장을 경계로 명확하게 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주택의 내외 생활영역의 구분을 위한 공간분리 전통을 잘 이행하고 있는 좋은 예로,

주택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며 후손이 거주하면서 관리가 잘 되어있는 고택으로,

경북 안동의 "오류헌 고택(安東 五柳軒 古宅)"입니다.

 

다음검색

저작자 표시 컨텐츠변경 비영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