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화를 여행 하면서 와선정(臥仙亭)을 찾았습니다.

문수산(文殊山) 아래 두곡촌(杜谷村)의 옥류암(玉溜庵)에 이어서 태백오현과 관련된 곳으로,

태백오현(太白五賢)이 정자 옆을 흐르는 물에 누워 목욕하였다는 데서 유래된 봉화의 와선정(臥仙亭)입니다.

 

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학산리(鶴山里) 골띠 마을에 위치한 와선정(臥仙亭)으로,

 

 

 

와선정으로 들어가려면 아치형의 나무다리를 건너게 되는데, 

"오현교(五賢橋)"는 정자를 지은 태백오현(太白五賢)을 상징하는 다리 입니다.

 

 

 

2004년도에 오현교(五賢橋)를 축조하면서 입구에 세워둔 비로,

"병자호란(1636)에 벼슬도 버리고 태백산하(太白山下) 춘양에 은거하면서 대명절의(大明節義)를 지켜 온,

태백오현의 덕을 기리고 교유회동의 정을 추모하기 위하여 아름다운 다리를 놓고 오현교라 이름 짓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오현교를 건너 와선정으로 향합니다.

 

 

 

다리를 건너면 와선정의 솟을 외문을 만나게되고,

 

 

 

솟을 외문을 들어서면 아담한 크기의 와선정(臥仙亭)을 만나게 됩니다.

 

 

 

와선정(臥仙亭)은 1636년(인조 4) 병자호란이 항복의 치욕으로 끝나자,

벼슬을 버리고 두메산골인 이곳 태백산 아래에 묻혔던 태백오현(太白五賢)이 소요 하던곳으로,

태백오현은 잠은(潛隱) 강흡(姜恰, 1602~1671), 각금당(覺今堂) 심장세(沈長世, 1594~1660), 포옹(抱翁) 정양(鄭瀁, 1600~1668),

손우당(遜愚堂) 홍석(洪錫, 1604~1680), 두곡(杜谷) 홍우정(洪宇定, 1595~1654)으로,

잠은은 법전의 버쟁이에 은거했으며, 각금당은 모래골에, 포옹은 춘양 도심촌에, 손우당은 춘양 소도리에, 두곡은 봉성 뒤디물에 은거하였는데,

그들이 은거 하던곳의 거리는 서로 10리에서 30리 안밖이었고 이들은 서로 지근거리에 살면서 울분을 달래며 우의를 다졌다고 하며,

와선정은 태백오현의 대표적인 소요지로 알려져 있습니다.

 

 

 

정자는 정면 2칸, 측면 2칸으로,

정면에는 판문이 각 칸에 1개소씩 설치되어 있으며,

시냇물과 면한 후면에는 세살분합문이 들어 열개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와선정(臥仙亭)의 현판이며,

 

 

 

문이 잠겨 있어 안으로 들어가지 못해 시판등의 현판은 볼수가 없고,

자연석 초석에 하부의 기둥의 크기로 보아 비스듬한 지형을 그대로 활용했슴을 볼수 있습니다.

 

 

 

태백오현(太白五賢) 교유하던 이곳에 그의 후손들이 1635년 건립한것으로 추증되는 정자 입니다.

 

 

 

와선정 아래에는 중조천의 맑은계류가 암벽 아래로 흘러 나가고,

 

 

 

와선정에 올라 은빛폭포인 5m남짓한 "사덕암 폭포"를 바라봅니다.

 

 

 

손우당(遜愚堂) 홍석(洪錫)은,

이곳 사덕암에 올라 이곳의 경치를 ‘제사덕암(題   德巖)’이라는 시(詩)로 표현했습니다

사덕바위(  德巖)가에경치는               사계절 언제나 가히 볼만하다.

기이한 꽃은 푸른 벽에 비치고              상서나무는 맑은 여울에 덮였네

서리뒤에 금국화 밝고                       눈가운데 옥 및 뿌리 수려하네

매일 오는데 고운자태를 가지고 있어     기리 노부(老夫)의 낯을 푸노라


와선정의 내부에는,

이곳을 노래한 손우당 홍석의 ‘제사덕암’ 시판과 잠은 강흡의 현손인 강한(姜瀚)의 사덕명암기 현판이 걸려 있다고 합니다.

 

 

 

암왈사덕(巖曰사德)     바위는 사덕바위요,

폭왈은폭(瀑曰銀瀑)     폭포는 은빛폭포이고, 

대왈와선(臺曰臥仙)     집은 와선정 이라고,

전해오는 말에서처럼 바위와 폭포와 나무와 정자가 잘 어울리는 곳입니다.

 

 


사덕암 바위위엔 "사덕암" 이라는 암각이 있었으며,

와선대 옆 바위에는 "와선대" 라는 암각이 있다고 하는데,

이는 손우당의 손자 가상(可相)이 암각했다고 전해져 오고 있으며,

바위와 폭포와 나무와 정자가 잘 어울리는 곳입니다.

 

 

 

행정추상도(杏亭秋賞圖)로,

이곳 태백오현(太白五賢)의 와선정(臥仙亭)과 어울릴듯 하여 가져왔습니다.

18세기 중기에서 후기에 활동한 화원화가였던 석당((石塘) 이유신(李維新)의 작품으로,

종이에 담채 기법을 사용한 이 작품은 크기는 30.2×35.5cm입니다.

 

 

태백오현은 이곳 와선대에서 매년 삼짓날 정기적인 모임을 가졌는데 이 모임 을‘답청계(沓靑契)’라 하였고,

지금도 5현의 후손들은 하절기 중복과 음력 11월 9일을 정일(定日)로 하여 모임을 이어가고 있어,

조상들의 덕을 추앙하며 혈육보다 진한 정을 나누며 370여년의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고 합니다.

 

 

 

사덕암을 따라 은폭(銀瀑)이라는 5m남짓한 폭포가 사시사철 정자를 지키고 있고,

사덕암의 바위위엔 늙은 노송의 그림자리가 언제나 내려앉아 있는 한폭의 그림같은 "와선정" 입니다.

 

 

 

안동 길안의 묵계리에 있는, 

폭포와 함께 노년을 기약하는  김계행(金係行)의 "만휴정(晩休亭) 원림"에 버금가는 곳으로,

폭포와 정자의 규모는 작지만 나름의 운치가 있어 또다른 풍광을 전해 주는곳으로,

봉화의 숨어있듯 아름다운 정자, 태백오현(太白五賢)의 와선정(臥仙亭)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