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산을 여행하면서,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槐山 院豊里 磨崖二佛並坐像)을 찾았습니다.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은 충주에서 경상북도 상주로 가는 3번 국도변에,

수옥정 삼거리를 지나 조금가면 길우측 옆에 있습니다.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 원풍리에 있는,

고려시대 불상인 마애이불병좌상(磨崖二佛並坐像)으로 보물 제97호로 지정된 문화재 입니다,

 

 

 

12m 높이의 산마루턱에 암벽을 뚫어 3.6×3.6m 크기의 방형 감실(龕室)을 마련하고, 

안에 불좌상 2구와 화불(化佛) 등이 조각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 희귀한 이불병좌상이라는 점에서 귀중한 문화재 입니다.

전체적으로 많은 손상을 입었는데, 특히 하부는 마멸이 심하여 형체가 불분명한 상태입니다.

 

 

 

전설에 의하면,

신라말기 범어사(梵魚寺)의 고승인 여상조사(呂尙祖師)가 조성,

또는 고려때 나옹대사(羅翁大師)가 조성한 것이라고도 하나,

실제로는 고려중기인 12C의 작품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마애이불병좌상(磨崖二佛並坐像)의 두 불상은 옷주름이 대칭으로 표현되는 등 동일한 형태를 보여주는데,

이불병좌상(二佛幷坐像)의 일반적인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넓적하며 평면적인 불상의 얼굴에는 가는 눈, 뭉툭한 코, 꽉 다문 입 등이 묘사되어 있어  건장한 인상을 줍니다.

직사각형의 신체는 넓은 어깨와 굵은 팔로 인해 매우 강건해 보이면서도 가슴이 들어가서 움츠린 듯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두 손은 무릎 위에 포개놓았는데, 그 위로 옷자락이 덮여 흘러내린 모습입니다.

배 부근까지 깊게 파인 U자형의 통견의(通肩衣)는 굵은 선각으로 평행하게 처리되었으며,

가슴에는 옷깃 모양(y형 또는 Y형)의 승각기(僧脚岐)가 표현되었고 복부 아랫부분은 마멸이 심해 형태를 알아볼 수 없습니다.

불상 좌우의 좁은 여백에는 확실하지는 않으나 보살상 같은 것이 새겨져 있고,

머리 주위에는 각 5구씩의 화불(化佛)이 새겨져 있으며 불상의 군데군데에는 채색을 가했던 흔적도 보입니다.

 

 

 

"이불병좌상(二佛並坐像)"은 중국에서는 북위시대, 특히 5, 6세기에 크게 유행하였으나, 우리나라에는 그 예가 많지 않아서,

이 작품 외에는 전대전사 출토 금동이불병좌상(傳大典寺出土金銅二佛幷坐像)이 있고,

벽화로는 통도사 영산전의 견보탑품변상(見寶塔品變相) 등이 있을 뿐입니다.

이 불상이 희귀한 이불병좌상이라는 점에서 매우 귀중한 작품이며, 고려시대의 작품이면서도 고식(古式)을 남기고 있는 점이 주목되며

특히 5, 6세기에 크게 유행했던 형식으로 〈법화경〉의 다보여래(多寶如來)와 석가여래(釋迦如來)를 표현한 것인데,

이것이 그에 해당하는지는 확실치 않습니다.

전대전사출토금동이불병좌상(傳大典寺出土金銅二佛幷坐像)과,

벽화인 통도사 영산전 견보탑품변상(見寶塔品變相)과 더불어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문 예 이므로 이불병좌상 가운데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됩니다.

 

 

 

이곳은 "괴산 원풍리 마애불좌상"으로 불리다가,

2010년 명칭이 변경되었는데,

"마애불이 앉아 있다"에서 "마애불 2기가 나란히 앉아 있다"는 것으로 변경된 것이니,

마애이불병좌상(磨崖二佛並坐像)으로 바뀐 명칭이 본 모습에 좀 더 가까운 이름인듯 합니다.

 

 

 

12m 높이의 암벽위에는 두그루의 소나무가 의지하듯 암벽에 뿌리를 내린 모습이 보이고..

 

 

 

멀리서 보아도 아슬아슬하게 자리잡은 모습입니다.

 

 

 

마애이불병좌상 아래의 주변에는,

소망이 담긴 불자들의 크고 작은 돌탑들을 볼수가 있습니다.

 

 

 

그리 멀지않은 인근에는 수옥정과 함께하는 수옥폭포도 있어,

문경새재의 괴산방향에서의 출발지인 이곳에서 함께 찾아보면 좋을듯 합니다.

괴산의 문화재를 돌아보며 찾은곳으로,

괴산 원풍리 마애이불병좌상(槐山 院豊里 磨崖二佛並坐像)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