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의 행주산성(幸州山城) 인근은 가끔 가는곳이지만,

행주산성아래 한강변에 "행주 역사공원"이 있어 찾아 보았습니다.

 

행주 역사공원은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인 행주대첩의 행주산성(幸州山城)아래 한강변에 조성된 공원으로,

공원 입구에 있는 주차장도 정비가 잘 되어 있습니다.

 

 

 

공원으로 들어서면 행호정 앞에 조선 선조조 때의 시인이자 문인인 석주(石州) 권필(權韠)의 시비가 있어,

석주(石洲) 권필(權韠,1569~1612)은 송강 정철(鄭澈)의 문인으로,

성격이 자유분방하고 구속받기 싫어하여 벼슬하지 않은 채 야인으로 일생을 마친 인물로,

젊었을 때에 강계에서 귀양살이하던 정철을 이안눌(李安訥)과 함께 찾아가기도 했으며 동료 문인들의 추천으로 제술관(製述官)이 되고,

또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임명되었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으며 강화에 있을 때 그의 명성을 듣고 몰려온 많은 유생들을 가르쳤으며,

명나라의 대문장가 고천준(顧天峻)이 사신으로 왔을 때 영접할 문사로 뽑혀 이름을 떨쳤습니다.

임진왜란 때에는 구용(具容)과 함께 강경한 주전론을 주장 하기도 했으며 광해군초에 권신 이이첨(李爾瞻)이 교제를 청했으나 거절했고,

유희분(柳希奮) 등의 방종을 임숙영(任叔英)이 "책문(策文)"에서 공격하다가 광해군의 뜻에 거슬려 삭과(削科)된 사실을 듣고,

분함을 참지 못하여 "궁류시(宮柳詩)"를 지어서 풍자, 비방 하였는데,

이에 광해군이 대노하여 시의 출처를 찾던 중, 1612년 김직재(金直哉)의 무옥(誣獄)에 연루된 조수륜(趙守倫)의 집을 수색하다가 연좌되어,

해남으로 귀양가다가 동대문 밖에서 행인들이 동정으로 주는 술을 폭음하고는 이튿날 44세로 졸 하였습니다.

시재가 뛰어나 자기성찰을 통한 울분과 갈등을 토로하고, 잘못된 사회상을 비판 풍자하는 데 주목할만한 성과를 거두었던 인물로.. 

인조반정 이후 사헌부지평에 추증되었고, 광주(光州) 운암사(雲巖祠)에 배향되었으며,

묘는 경기도 고양시 위양리에 있고 묘갈은 송시열(宋時烈)이 찬 하였으며 "석주집(石洲集)"과 한문소설 "주생전(周生傳)"이 전하고 있으며,

옛 고양현 현석촌 출생인 권필(權韠)은 2008년에 "자랑스런 고양인"으로 선정 되기도 했습니다.

 

 

 

시비 곁에는 행호정이 있어, 

행호(杏湖)는 한강을 부르는 또다른 이름으로 이곳에 서면 서울, 인천, 김포, 고양지역을 바라볼수 있으며,

행호정은 1970년 무장공비의 침입에 대비해 군 철책에 설치된 이래 우리 군의 경계근무용으로 이용되었던 군초소로,

2008년 군 철책선이 철거되면서 방치되어 왔던 것을 한강의 아름다운 경관을 한눈에 바라볼 수 있는 평화의 전망대로 정비하고,

한강의 옛 이름인 행호강을 바라본다는 의미에서 "행호정"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석탄 이신의(李愼儀)의 시비(詩碑)로,

이신의(李愼儀,1551~1627)의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경칙(景則), 호는 석탄(石灘)이며 시호는 문정(文貞)으로,

1582년(선조 15년) 32세 때 학행으로 천거돼 종8품의 예빈시봉사(禮賓寺奉事)라는 첫 관직을 갖게 되었으나,

이후 종묘서봉사(宗廟署奉事)로 자리를 옮기게 되자 벼슬을 내려놓고 고향인 고양(高陽)으로 내려와,

왕도와 치세에 관련한 자신의 철학을 담은 "대학차록(大學箚錄)"을 저술하는 등 유학자로서 자신의 수양과 학문 증진에 힘쓰고 있었는데,

그의 나이 42세 되던 해에 임진왜란(1592년)이 발발하여 향병 300여 명을 모집해 "이신의창의대(李愼儀倡義隊)"를 조직하고,

창릉천 넘어 왜군의 진지가 건너다보이는 고양 도래울 마을 동쪽 도라산 언덕에 단(壇)을 쌓고 제를 올리며 왜군과의 일전을 준비했으나,

조총으로 무장한 적군을 직접 상대하기는 무리여서 그는 밤마다 의병들로 하여금 횃불을 들고 산 주변을 돌게 하는 한편,

창릉천에 쌀뜨물 빛깔의 백토를 뿌려 의병대의 규모가 크고 군량미가 넉넉함을 과시하는 심리전을 펼쳐,

고양 백성들은 "이신의창의대"의 활약으로 왜군에 침탈을 당하지 않고 무사히 지낼 수 있었으며,

임진왜란 당시 권율 장군을 도와 행주대첩을 이루는데 공헌하여 관직이 형조참판까지 이르렀습니다.

그후 광해군의 폭정에 항의하다 함경도와 전라도 등으로 귀양살이를 하면서,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석탄금( 거문고)을 연주하며 지은 사우가를 남기기도 하였는데,

문봉서원에 제향된  고양8현(高陽八賢)의 한 분으로 2009년 경기도 호국의 인물, 2012년 자랑스러운 고양인으로 선정된 인물입니다.

 

 

 

공원에는 돌탑들이 보이는데,

한강하구 남북분단의 상징인 군철책 철거 후 현재의 공원을 조성하면서,

임진왜란 기간 중 행주산성 전투에 쓰여졌을 법한 크고 작은 돌들이 유난히 많이 나와서 돌탑을 쌓아 보전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늘이 있는 공원의 벤치에는 악기연주 동호회 인듯 자리잡고,

연주를 하고있어 공원을 찾는 이들에게 듣는 즐거움을 전하고 있습니다.

 

 

 

나무계단을 통하여 한강변으로 나가봅니다.

 

 

 

작은 초원같은 잔디가 펼쳐져 있고,

너머에는 한강을 앞에 두고 휴식을 즐기는 모습이 들어 옵니다.

 

 

 

버들나무의 큰 그늘 아래에 텐트를 설치하고,

편하게 한강변의 정취를 즐기시는 분도 계셔서 여유로운 공원임을 알게해 줍니다.

 

 

 

행주대교를 바라보는 풍경에서,

늦은 오후시간 임을 일려주듯 해가 곧 넘어갈듯 떠있고,

여름이 시작되는 시점인데 벌써 더위가 느껴져 시원한곳을 찾게 됩니다.

 

 

 

행주 역사공원 주변은 3.1만세운동 유적지도 있어서,

1919년 3월 11일 행주리 주민들이 만세 운동을 벌인 곳으로 주민들은 행주산성의 정상인 덕양산에서 등불을 올리고 야간에 만세운동을 벌였으며,

한강에 배를 띄우고 전국에서 유일하게 배 위에서도 만세를 불렀습니다.

3월 28일에 또 다시 500여명의 군중이 만세운동을 벌였는데 이때 무려 38명이 일본 경찰에게 체포 되었는데,

불빛을 보고 만세소리를 듣고 일본경찰이 쫓아오자 군중들은,

"옛날 임진년에 이곳 행주산성에서 왜놈들이 망했는데 만일 쫓아오면 네 놈들도 똑같이 망하리라" 라고 외쳤다고 합니다.

 

 

 

강 가까이에는 "통일염원 바람개비"의 모습도 볼수있어,

바람개비는 조선시대 이전부터 풍작을 기원하는 의미로 정월대보름을 전후로 전국적으로 행해지던 민속놀이로

이곳에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243곳을 상징하는 바람개비 243개가 자연의 순리대로 돌아가고 있으며,

바람개비,는 평화통일을 바라는 국민 모두의 염원과 그 어떠한 이념과 편협도 없는 순수한 동심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안내문에 있는 겸재 정선의 "행호관어도(杏湖觀漁圖)"로,

이곳을 행호라 한 것은 행주산성 인근으로 창릉천이 들어오면서 강폭이 넓어지고 물살이 약해 마치 호수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며,

1741년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겸재( 謙齋) 정선(鄭敾)이 양천현감으로 있으면서 그린 그림으로,

이 그림은 당시의 행주나루 인근에서 작은 배를 이용하여 고기잡는 모습을 그린 것이며,

옛부터 행주는 웅어로 유명하였는데 이 그림에서 어부들은 웅어잡이를 하는 것으로 보여 집니다.

 

 

 

당대 최고의 화가 겸재(謙齋) 정선(鄭敾:1676~1759)이 양천 현령에 제수된 것은 영조 16년(1740년) 겨울 그의 나이 65세 였으며,

정선(鄭敾)은 궁산(가양동)의 소악루에 자주 올랐는데 궁산은 한강변의 절승을 조망하고 사생하기에 더 없이 좋은 장소여서,

소악후월, 목멱조돈, 행호관어도, 안현석봉등 한강변의 아름다운 진수산경들을 낳았습니다.

조선 후기의 시인으로 겸재 정선과 절친였던 이병연(李秉淵, 1671 ~ 1751)의 행호관어도(杏湖觀漁圖)의  제시를 가져와 봅니다.

春晩河腹羹   늦봄이니 복어국이요

夏初葦魚膾   초여름이니 웅어회라

桃花作漲來   복사꽃 가득 떠내려 오면

網逸杏湖外   행주 앞강에는 그물 치기 바쁘다

 

 

 

오래전부터 고양지역 한강의 나루로는 이곳 행주나루와 일산서구 송포동의 이산포나루가 유명했다고 하며,

이들 나루는 고양 물길 교통의 중심지로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세곡선,상 선 등이 잠시 맞춰 기다리던 곳이었다고 합니다.

 

 

 

2012년 4월에 고양 600년 기념 3주년을 맞이해

과거 1970년대 무장공비 침투를 막고자 설치됐던 한강하류 군 철책을 42년 만에 대한민국 최초로 제거하여,

46년 만에 시민의 품으로 돌아오게 된 이 지역은 "고양 행주산성 역사공원"으로 조성되어,

드라마 촬영장소로도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행주는 예로부터 "살구나무가 많은 강변" 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한강변의 공원중 아직은 많이 알려지지 않아서 사색이나 호젓함을 즐기기에 그만인 곳으로,

고양 행주산성(幸州山城) 아래의 "행주 역사공원"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