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에 있는,

봉업사지(奉業寺址)에 남아있는 문화재로,

"안성 죽산리 석불입상(安城 竹山里 石佛立像)과 죽산리 삼층석탑(竹山里 三層石塔)"입니다.

 

안성 봉업사지(安城 奉業寺址)는 경기도 기념물 제189호로 지정되었으며,

봉업사의 창건과 폐사 시기는 기록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지만,

고려시대 광종 때 중창되어 조선 초기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 되는데,

그리고 1966년에 출토된 유물의 명문을 통해 "봉업사(奉業寺)"라는 이름을 확인 하면서,

이곳이 고려 태조(太祖)의 진영(眞影)을 봉안한 진전사원(眞殿寺院)이었다는 것이 밝혀 졌으며,

 

 

 

 

사찰의 창건은 통일신라시기로 올라가며 창건 당시의 사명은 화차사(華次寺)였음이,

1997년 발굴조사 결과 출토된 통일신라시대 명문기와를 통해 확인 되었는데,

봉업사지의 사명(寺名)이 확인된 것은 1966년 경지정리작업 중 출토된 향완과 반자에 새겨진 명문 때문이며,

향완과 반자의 발견으로 고려사에 나오는 죽주의 봉업사가 현재의 봉업사지라는 것이 확인된 것으로,

"고려사"에 의하면 공민왕이 1363년(공민왕 12년) 죽주에 이르러,

봉업사에서 태조의 진영을 알현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봉업사는 절 이름 그대로 나라를 창업한 것을 기념하여 창건된 호국사찰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 절의 명칭이 중요한 이유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말하는 ‘고려 태조의 진영을 모셨던 비봉산 아래의 "봉업사(奉業寺)"가

바로 이곳임을 밝혀주는 것으로 사찰의 중요성이 증명되는 일이기 때문으로,

태조의 진영을 모셨다는 것은 이곳이 진전사원이었다는 의미인데,

진전사원이란 왕실의 의지에 따라 죽은 왕의 진영을 모시고 위업을 기리며 명복을 비는 사찰로,

태조의 진전사원은 전국의 이름난 사찰인 개성의 봉은사와 논산 개태사 등에 두었던 것으로 보아,

봉업사가 결코 만만한 사찰이 아님을 밝혀주는 것이기도 합니다.

 

 

 

 

봉업사지(奉業寺址)에 남아 있는,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7호인 "안성 죽산리 석불입상(安城 竹山里 石佛立像)"는,

안성 죽산리 석불입상은 봉업사지 사역의 북쪽에 위치한 용화사 경내에 있어,

용화사는 근래에 창건된 사찰인데,

법당 건물 북서쪽 언덕 에 부재 일부가 결실된 석탑과 죽산리 석불입상이 함께 세워져 있는데,

 

 

 

 

죽산리 석불입상이 있는 위치는 봉업사지 사역의 북쪽 끝자락과,

죽주산성이 있는 산의 능선 부분이 평탄지와 만나는 지점에 해당 하는데,

죽산리 석불입상은 현재 세워져 있는 곳에서 서남쪽으로 약 200m 떨어진,

죽산리 삼층석탑의 서쪽 인근에서 옮겨온 것이라 합니다.

 

 

 

 

죽산리 석불입상은 소발의 머리 위에 높은 육계를 갖고 있으며,

불상의 머리는 어깨에 비해 큰 편이며 턱 주변에 살이 많지 않은 동그란 얼굴을 하고 있고,

눈은 반개하였으며 입술은 단정하게 다물고 있고 귀는 어깨까지 흘러 내리는데,

목에는 삼도가 있었으나 떨어져 나간 머리를 보수하는 과정에서 석분이 발라져,

현재는 육안으로 거의 보이지 않으며,

 

 

 

 

통견식의 대의를 입고 있으며 목 아랫부분에 겹쳐진 옷자락이 세 줄의 옷 주름으로 표현되어 있고,

이 주름 밑으로 "U"자 형의 옷 주름이 아랫배까지 흘러 내리는데,

이 옷 주름은 허리부분에서부터 "Y"자 형으로 갈라져 양다리 위에 타원형의 주름을 남기고 있으며

오른손은 여원인 모양을 취하고 있으며 왼손은 손바닥을 몸 쪽으로 한 채 자연스럽게 내려놓고 있습니다.

 

 

 

 

이 불상은 정면에서 보면 다리 사이와 가슴 부근의 양감이 두드러지지 않고 평면적으로 보이는데,

하지만 측면에서 보면 등이 뒤로 젖혀진 채 몸이 부드럽게 활처럼 휘어져 있어,

입체적인 볼륨감을 느낄 수 있으며,

 

 

 

 

불상이 올라가 있는 대좌 앞에는 비슷한 지름으로 윗면이 파여져 있는 하대석이 있는데,

이 하대석은 죽산리 석불입상의 대좌와 짝을 이루어,

좌상 형태의 불상을 받치고 있었던 대좌로 사용되었던 것이라 하며,

 

 

 

 

불상의 뒷면은 어깨가 넓고 둥글게 다듬어져 있는데,

허리 아래쪽은 좁게 다듬어져 있고 허리 쪽이 안으로 휘어져 있어,

마치 매병(梅甁)을 연상시키는 신체 굴곡이며,

죽산리 석불입상이 밟고 있는 대좌는 원래의 것이 아니며,

이 대좌는 상면 지름이 약 90cm이고 오목하게 파여 있습니다.

 

 

 

 

죽산리 석불입상의 조성 시기는 이 석불입상이 원래 있었던 봉업사지 북쪽 사역의 존속시기를 통해서 유추할 수 있는데,

발굴조사를 통해 밝혀진 사역의 존속시기는 통일신라 말까지 유지되었던 시기와,

고려 광종대 이후의 중창시기로 나눌 수 있는데,

죽산리 석불입상은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후반에 조성된 작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죽산리 석불입상이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되었을 것으로 볼 수 있는 또 다른 이유는,

석불의 신체가 통일신라시대의 금동불을 모방하여 만들어 졌다는 점으로,

죽산리 석불입상은 정면에서 볼 때는 평면적이지만,

측면에서 보면 마치 통일신라시대의 보살상이 몸을 틀고 있는 것과 같은 곡선미를 확인할 수 있는데,

특히 9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통일신라시대 석불입상과는,

옷 주름과 신체의 볼륨감, 머리와 어깨의 비례 등에서 매우 유사 합니다.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8호인 안성 죽산리 삼층석탑(安城 竹山里 三層石塔)은,

보물 제435호로 지정된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에서 북쪽으로 약 500m 떨어진 곳에 있는데,

 

 

 

 

죽산리 삼층석탑은 평면 방형의 이중 기단을 갖추고 있는 석탑으로,

탑은 기단부(基壇部)의 일부가 땅에 묻혀 탑의 완전한 모습은 알 수 없으나,

땅위로 드러난 모습은 1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형태이며,

기단은 각 면의 모서리에 기둥 모양을 새겼고,

윗돌을 괴는 곳에 연꽃무늬를 두어 장식 하였습니다.

 

 

 

 

현재 하층기단은 기단 갑석만 노출되어 있으며 그 아랫부분은 매몰되어 있는데,

상층기단은 기단 모서리에 모퉁이 기둥인 우주(隅柱)만 모각되어 있고 가운데 기둥인 탱주는 없으며,

기단 갑석 상면에는 복련 형태의 연화문이 조각되어 있으며,

 

 

 

 

탑신은 초층 탑신이 높이 솟아 있어 상승감을 주는데,

탑신의 각 몸돌에도 기둥모양을 새겼고,

지붕돌에 해당하는 옥개석은 매 층마다 4단의 옥개받침을 갖추고 있으며,

 

 

 

 

상륜부는 멸실되어 아무것도 남아 있지 않습니다.

 

안성 죽산리 삼층석탑이 위치한 봉업사지 일대는,

통일신라 말기의 혼란과 전쟁을 거치는 동안 폐허가 된 지역으로,

죽산리 삼층석탑은 상층기단 면석에 탱주가 없고 기단 갑석 상면에 복련문이 시문 된 점 등을 통해 볼 때,

전형적인 고려시대의 삼층석탑이라 할 수 있는데,

특히 2004년 경기도박물관에서 실시한 봉업사지 3차 발굴조사를 통해서,

이 석탑의 조성에 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이 규명 되었는데,

죽산리 삼층석탑은 9세기 통일신라 석탑의 하층 기단을 그대로 재사용하여,

고려시대에 새롭게 조성된 탑이라는 점이 확인 되었으며,

 

 

 

 

또한, 석탑의 하부 토층에서는 ‘태화 6년(太和六年, 832)’ 명 기와가 출토되었는데,

이 지역에 통일신라의 사찰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게 해주고 있으며,

죽산리 삼층석탑 주변의 발굴조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현재 이 석탑이 세워져 있는 지역에는 통일신라 때 조성된 평면 방형의 일반형 삼층석탑이 세워져 있었지만,

이 석탑은 신라 말 혼란의 소용돌이 속에서,

석탑의 기단을 제외한 다른 부재는 재사용을 할 수 없을 정도로 깨지거나 파손된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이유로 통일신라 때 만들어진 삼층석탑의 기단부만을 재사용하고,

나머지 부재는 새로 만들어 고려시대에 죽산리 삼층석탑을 건립하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려 태조의 진영을 모셨던 "봉업사(奉業寺)"에 남아있는 유물이며,

근거리의 태평미륵과 함께 곳곳이 기자신앙의 흔적을 볼수 있는 곳으로,

봉업사지(奉業寺址)에 남아 있는 문화재인 만큼,

명칭도 안성 죽산리 석불입상(安城 竹山里 石佛立像)과 죽산리 삼층석탑(竹山里 三層石塔)에서,

봉업사지 **** 등으로 바뀌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는 문화재인,

"안성 죽산리 석불입상(安城 竹山里 石佛立像)과 죽산리 삼층석탑(竹山里 三層石塔)"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