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에 있는 고택으로,

경상북도 기념물 제137호인 "백하구려(白下舊廬)"입니다.

 

이 집은 구한말(舊韓末)에서 일제강점기까지 애국계몽(愛國啓蒙) 및,

조국 광복(光復) 운동에 몸바친 백하(白下) 김대락(金大洛, 1845~1914)이 1885년에 건축한 가옥으로,

사랑채를 확장하여 1907년 이 지역 최초로 근대식 학교인 협동학교를 개교했던 유래가 있는 고택 입니다.

 

백하구려(白下舊廬)는 정면 8칸에 측면 5칸의 "ㅁ"자형 기와집으로,

서쪽 4칸은 사랑채이고 동쪽 4칸은 중문간을 비롯한 아래채이며,

사랑채는 막돌로 쌓은 2단 기단 위에 서 있으며,

아랫단 기단은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습니다.

 

안채는 전면이 개방된 3칸 대청을 중심으로,

동쪽에 남북으로 긴 2칸 방이 놓이고, 그 앞으로 2칸 부엌이 뻗어 ,

앞채의 아래방에 접하였으며,

안채와 사랑채 모두 간소한 구조이지만 ,

안채 대청 앞면 기둥은 둥근기둥을 세워 장식 하였습니다.

 

고택을 지은 김대락(金大洛,1845년 ~ 1914년)은 한국의 독립운동가로,

안동 출생으로 본관은 의성(義成)이고 자는 중언(中彦), 호는 비서(賁西)이며,

후일 만주에 들어가 백두산 아래서 산다는 뜻에서 백하(白下)라는 별호를 사용 하였는데,

김동삼(金東三) 등과 함께 근대적 민족교육을 위해,

이곳 사랑채에 근대식 학교인 협동학교(協同學校)를 설립 하였다가,

장소가 협소한 관계로 사랑채 4칸을 확장하여 임시교사(臨時校舍)로 사용하다가,

후일 가산서당(可山書堂)으로 옮겼다 합니다.

 

김대락은 1910년 나라를 일본에 빼앗기자,

독립운동 기지(基地) 마련을 위해 만주로 갔으며,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건립 때에는 고향에 있던 재산과,

이집 사랑채까지 팔아 학교 건립 자금으로 제공하였다고 하며,

저서로는 "백하일기(白下日記)"가 있습니다.

 

국난의 시기에 전재산을 바쳐 독립운동에 헌신한,

백하(白下) 김대락(金大洛)의 유허가 남아 있는곳으로,

경북 안동의 고택 문화재인 "백하구려(白下舊廬)"입니다.

 

다음검색

저작자 표시 컨텐츠변경 비영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