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천의 아름다운 정자 옥간정에서,

횡계천을 따라 약 100m정도 내려오면 만날수있는 모고헌입니다.

 

모고헌으로 들어가는 사주문입니다.

옥간정이 횡계구곡의 제3곡에 있으며,

모고헌은 제3곡에 위치해 있으며 태고와(慕古軒)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모고헌(慕古軒)은,

조선 숙종 때 성리학자인 정규양이 1701년(숙종 27)에 태고와(太古窩)로 지었으며,

정규양[1667~1732]의 본관은 영일, 자는 숙향(叔向), 호는 지수(篪叟)이며,

형인 정만양(鄭萬陽)[1664~1730]과 함께 부친이 돌아가신 후,

보현산 횡계(橫溪)로 들어가 정자를 짓고 학문에 전념했습니다.

벼슬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학문과 우애로 여생을 보내며,

영의정 조현명(趙顯命), 형조참의 정중기(鄭重器) 등 많은 명현과 석학들을 길러 냈었습니다.

정규양은 형 정만양의 거처인 옥간정을 왕래하며 형제간의 우애를 돈독히 했고,

항상 저서에 자신들의 호를 따 ‘훈지(壎篪)’라 하고 자손에게 모두 그 뜻을 따르도록 하였으며,

저서로는 『훈지양선생문집(壎篪兩先生文集)』 등이 전하고 있습니다.

 

 

 

 

모고헌(慕古軒)은 정규양이 1701년(숙종 27)에 태고와(太古窩)로 건립했으며,

후에 1730년(영조 6) 그들의 문인들이 수리해서 모고헌이라 지칭하였습니다.

정면 3간 측면 2간 규모의 팔작기와집으로 횡계서당 내에 자리잡고 있으며,

단애(斷崖) 위에 자리잡은 관계로 계류에 면한 전면에서 보면 중층누각의 형태이나,

북쪽의 횡계서당 마당 쪽인 배면에서는 단층 건물로 되어 있슴을 볼수가 있습니다.

 

 

 

 

 

북쪽에는 횡계서당이 있고,

정자 바로 뒤 서당 사이에는 오래된 향나무가 있습니다.

수령이 300년 된 향나무는 육유재와 태고와를 지을때 정각선에 살던 승려에게,

어린 향나무 두 그루를 얻어 그중 한그루를 태고와에 심었던것으로,

이 향나무는 보호수로 지정이되어 영천시에서 관리하고있는 보호수 입니다.

 

 

 

 

모고헌의 북쪽에 있는 횡계서당(橫溪書堂)을 먼저 돌아봅니다.

횡계 서당은 1737년 훈수(塤叟) 정만양(鄭萬陽)과 지수(篪叟) 정규양(鄭葵陽)을 배향하는 서원을 건립하려 하였으나,

서원남설(書院濫設)을 막는 나라의 제도로 뜻을 이루지 못하다가 1760년 사교당에서 양 선생의 향사를 올리다가,

1871년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며, 1923년 횡계 서당으로 복원하였으며 1944년 관리사는 소실 되었다고 합니다.

 

 

 

 

횡계서당(橫溪書堂)의 현판입니다.

 

 

 

 

횡계 서당은 강당과 동재가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강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가운데 3칸을 마루방으로 드리고 양 옆을 온돌방으로 꾸몄습니다.

동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로 되어있으며 강당의 오른쪽 지붕은 보수 공사중에 있습니다.

 

 

 

 

휴일여서인지 공사는 잠시 쉬는듯해서,

안으로 들어가 강당의 처마구조를 살펴봅니다.

 

 

 

 

횡계서당 강당의 내부입니다.

3칸의 마루와 양쪽에 있는 온돌방중 오른쪽의 방이 보입니다.

 

 

 

 

마루에서 보이는,

사교당(四敎堂)외 양쪽의 온돌방에 따로이 현판있습니다.

 

 

 

 

마루의 왼쪽에있는 온돌방도 살펴봅니다.

 

 

 

 

오른쪽의 온돌방은,

지붕의 수리로 인해 천정이 드러나 있으며,

북쪽벽의 작은 벽장과 다락이 있는 구조입니다.

 

 

 

 

횡계서당에서 마당을 지나 모고헌으로 나옵니다.

이 건물은 1701년에 지수(篪叟) 정규양(鄭葵陽)(1667∼1732) 이,

대전동에서 이 곳으로 이거하면서 건립한 것으로 처음에는 태고와(太古窩)라 하였으나,

1730년에 문인들이 개축하여 모고헌이라 하였습니다.

 

 

 

 

모고헌의 내부입니다.

 

 

 

 

처음에는 태고와(太古窩)란 이름으로,

그때에 있었던 것으로 보이는 현판이 걸려 있습니다.

 

 

 

 

평면은 가운데의 온돌방 1간을 중심으로 온돌방의 4위에는 모두 우물마루를 깔았는데,

마루의 둘레는 전면에만 계자난간을 설치하고 나머지 3칸에는 모두 판벽과 판문으로 막았습니다.


모고헌은 횡계천 변 암반 위에 지은 정면 2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북쪽에 횡계서당이 있으며 건물 아래는 청석 암반의 계곡이다.

평면은 가운데 온돌방 한 칸을 두고 사방으로 반 칸의 퇴를 둔 중실형의 독특한 평면 구성이다.

건물의 반은 정지한 땅에 걸치고 반은 계변 청석 암반에 두어 중층의 누각 형식을 취하고 있다.

건물 정면인 계변 쪽에만 퇴 앞으로 계자각 난간을 두른 헌함을 두고,

나머지 퇴 칸 앞은 별도의 기둥을 세워 판벽으로 막았다.

판벽의 양 측면에는 쌍여닫이 판창을 두었고, 배면에는 외여닫이 판문을 내어 이곳으로 진입한다.

특히 판벽 상부에는 바람이 통하도록 홍살형의 살창을 두었다

(이해를 돕기위해 가져온 글입니다)

 

 

 

 

중앙의 온돌방 정면과 양 측면에,

쌍여닫이 세 살 창호를 내고 배면에만 외여닫이 세 살 창호를 두었습니다.

특히 벽장이나 반침을 별도로 둘 수 있는 공간이 없어,

방 벽 상부에 감실형 수납장을 달았으며,

온돌방의 아궁이는 건물 정면의 누하 아래에 있습니다.

자연석 주춧돌 위에 방과 퇴 칸 모두 원주를 세워 오량 가의 가구를 완성한 구조입니다.

 

 

 

 

문위에 나무창이 있는,

온돌방의 천정부분도 살펴봅니다.

 

 

 

 

모고헌에서 내려다 보이는 횡계천의 모습입니다.

 

 

 

 

모고헌이 있는 곳은,

보현산에서 발원한 횡계천이 퇴적암의 청석 암반을 드러내 절경을 이루는 곳으로,

모고헌은 앞의 횡계천을 내려다보며 시원한 경관을 정자로 끌어들이고 있습니다.

 

 

 

 

계곡의 암반을따라,

아름드리 노거수들이 이어져 있어,

여름철이면 시원함을 더해줄듯 합니다.

 

 

 

 

우거진숲과 맑은 계류가 함께 어우러진 빼어난 곳으로,

 

 

 

 

자연을 훼손하지 않고 지은 아름다운 건축물로,

헌함 가장자리에는 별도의 기둥을 세우고,

상부는 처마 서까래 중간 부분에 인방을 두어 판벽을 설치한 아주 독특한 구조로,

퇴 칸의 주 상부는 몰익공으로 처리하고 주간에는 소로를 끼웠습니다.

또한 퇴 칸의 평주 상부에는 우미량 형식의 충량을 걸어 아름다운 곡선미를 자랑하고 있으며,

지붕은 겹처마의 팔작지붕에 한식기와를 이엇으며, 모서리 서까래는 선자연을 취한 구조입니다.

 

 

 

 

마루 아래에 있는 아궁이에는 불을 넣었던 흔적이 보이고,

 

 

 

 

모고헌은 가구수법 등에서,

건립당시의 모습이 잘 나타나고 있을 뿐 아니라,

주변환경과 잘 어울리는 평면구성에서도 독특함을 엿볼 수 있는 정자입니다.

한차례 수리가 있었지만 건립 당시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고,

영천 지역의 누정 중 가장 독특한 평면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정자 앞쪽만 트여 있고 나머지는 판벽을 설치한 점은,

이 지역의 기후와 매우 밀접한 관계로 보여 집니다.

 

 

 

 


동재옆에 기대어선 공사 알림판을 보면서,

아름다운 이곳이 제대로된 공사로,

원래의 모습으로 되찾으면 하는 바램으로 사주문을 나오며 모고헌의 답사를 마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