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는 역사의 고장이라 할만큼,

가볼곳과 유적지가 가득한 곳입니다. 

선사시대 유적부터 대몽항쟁의 고려유적, 그리고 조선시대와

근대에 와서는 외세의 거센 바람을 맞아야 했던곳으로  많은 유적이 있습니다. 

그가운데에서 찾은곳은 철종의 생가인 "용흥궁 (龍興宮)" 입니다.

 

용흥궁은 의외로 골목안에 있어서,

네비로도 찾기가 힘들어서 횽흥궁 주차장에서부터 찾아야 했습니다.

 

 

 

 

골목길 안에 있는 용흥궁입니다

조선의 제25대 왕인 철종(재위 1849∼1863)이 왕위에 오르기 전에 살던 집으로,

철종이 왕위에 오르게 되자 1853년(철종 4) 강화유수 정기세(鄭基世)가 현재와 같은 건물을 세우고 용흥궁이라 하였는데,

그 뒤 1903년이재순(李載純)이 중건하였습니다.

 

 

 

 

용흥궁의 평면도 입니다.

현존하는 건물은 내전 1동, 외전 1동, 별전 1동, 잠저구기비각(潛邸舊基碑閣) 1동 등이 있으며,
이 궁의 건물은 창덕궁의 연경당(演慶堂), 낙선재(樂善齋)와 같이 살림집의 유형에 따라 조형되어,

전반적으로 질박하지만 소박하고 순수한 느낌을 주는 구조입니다.

안채인 내전은 정면 7칸, 측면 5칸이며(건평은 90㎡),

사랑채에 해당하는 별전은 정면 6칸, 측면 2칸인 ㄱ자형 집(건평 95㎡)의 규모 입니다.

 

 

 

 

용흥궁 (龍興宮)의 현판입니다.

전해 오는 말에 의하면  1849년 이원범(철종)이 왕이 되던 그 해,  

봄부터 한줄기 밝은 빛이 원범이 살고 있던 초가집 쪽으로 비추어 용(龍)이 일어날 조짐이라 하였는데,

그 해 6월에 원범을 모셔가기 위한 봉령단(奉命團) 일행이 강화도에 도착하기 하루 전에야,

그 빛이 사라졌다고 해서 "용이 일어난 집"  즉 용흥궁(龍興宮)이라 불렀다 전합니다.

 

 

 

 

 

솟을 대문을 들어서면,

안채가 직접 보이지 않도록 해둔것으로 보이는 나즈막한 담이 세워져 있는데,

담장의 높이가 낮아서 고개를 들면 안채가 들여다 보일정도 입니다.

 

 

 

 

대문을 들어와서 왼쪽을 보면, 

사랑채로 오르는 돌계단위의 일각문이 보이고,

 

 

 

 

솟을대문에서 우측으로 향하면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이고,

안채로 들어가는 중문은 다시 꺾여 들어가는 구조로 안채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之"자 형태로 돌아가야 합니다.

 

 

 

 

안채로 드는 중문을 열고 들어서면  소박한 안채가 보이는데,

안채는 ㄱ자형의 구조로  좌측에 건너방이 있고  2칸의 대청, 그리고 동쪽에 2칸 규모의 안방이 있으며,

안방 앞으로 두 칸의 부엌이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습니다.

 

이곳의 부엌은 일반적인 부엌의 위치와 다른것이,

대개의 집에서는 좌측에 부엌이 있는데 이곳은 우측에 부엌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배치는 우선 입구가 안채의 좌측에 있다보니 부엌을 좌측에 배치할 경우,

대문에서 바라보이는 부분이 건물로 막혀 답답하게 될 뿐만 아니라 부엌에서 필요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없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안채에 딸린  부엌의 모습으로,

부엌도 살림집으로 계획된 것이라면 꼭 필요한 장독대 등을 확보하기 위하여,

부엌 밖의 공간이 넓어야하는데 이곳에서는 부엌과 가까운곳에 그러한 공간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철종은 어렸을대 이름이 원범이고,

사도세자와 후궁임씨 사이에서 태어난 은언군 이인(恩彦君 李裀)의 손자로,

1844년(헌종10) 회평균의 옥사에 연루되어  가족과 함께  강화도로 유배되어 (11세때),

학문과는 거리가 먼 농부로 살았다고 합니다.

당시 영조의 혈손으로는 헌종과 원범 두사람 뿐이었는데,

1849년 헌종이 후사가 없이 죽자 대왕대비인 순원황후명으로 19세의 나이로 왕위를 계승하였습니다.

 

 

 

 

그러한 철종이 생활하였기 때문에,

잠저로서 다시 태어난 용흥궁은 그의 생애만큼이나 가식에 차있는 집으로,

용흥궁은 사람이 살기 위하여 지어진 집이 아니며  한마디로 전시용 가옥일 뿐입니다.

과거 철종이 살던 집이 초가로 초라하였기에 다시 지은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 집에는 툇마루가 많지 않습니다.

사랑채의 전면 외에는 툇마루를 찾아 볼수가 없는데,

퇴는 생활에 매우 요긴하게 쓰이는 공간 이므로   안방이나 건넌방 또는 대청 뒷부분에 퇴를 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 집에서는 사람이 살아야할 집이 아니다 보니 생활에 필요한 퇴가 많이 생략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또한 안채의 불발기 창도 일반집의 것에 비하여 매우 큰편으로,

대목인 목수 신영훈선생은  불발기 창이 이렇게 클 경우 내부에 있는 사람이 불안해지기 때문에,

불발기는 작게 만드는 것이 원칙이라고 합니다.

결국 사람이 살지 않는 집이기 때문에 불발기를 크게 만든 것으로 보여집니다.

 

 

 

 

 

용흥궁이 살림집이 아니었다는 모습은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것이,

사랑채 배치를 보면 전망과 권위를 위하여 언덕에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앞의 안채가 가려있어 시원한 전망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실제로 사람이 살기 위한 집이라고 한다면 사랑채의 부엌 상부에,

고미 다락을 설치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벽으로 처리하여 버린 모습으로  안채의 건너방도 같은 모습입니다.

 

 

 

 

안채의 뒷 공간에 위치한  우물의 모습으로,

우물또한 주변이 협소한 공간에 있으며 배수구가 보이질 않습니다. 

 

 

 

 

중문옆 안채의 건너방의 모습이구요,

 

 

 

 

그곳에 창고인듯 해서 문을열고 들여다 보니,

 

 

 

 

 

화장실이 있습니다.

 

 

 

 

그옆이 창고이구요..

 

 

 

 

사랑채를 보기위해 입구로 되돌아 나옵니다.

용흥궁의 솟을대문은 골목에서 다시 꺾여 고샅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곳은 집의 배치가 다른 곳과는 달리 사랑채가 안채의 뒤쪽에 위치하고 있고,

소슬대문을 들어서면 안채가 바로 들여다보이게 되어 있어서  담을 쌓았는데,

그 높이가 애매하여 안채가 훤히 들여다보입니다.

안채에 사람이 살지 않기 때문에 원래 그렇게 한 것인지 후대에 보수를 하면서 그렇게 된 것인지는 분명치는 않습니다.

 

 

 

 


일각문을 통하여 사랑채로 들어옵니다.

 

 

 

 

사랑채의 구조를 살펴봅니다.

이 집에서 아쉬운 점은 집을지은 목수는 당대 최고의 수준은 아닌 듯한것이,

사랑채 누마루의 선자도 귀퉁이만 선자서까래로 하였고 섬세함에 있어서도 조금은 아쉬움을 남게하는 솜씨로,

지방관이 주도하여 짓는 집이기 때문에 최고의 목수를 수배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슴인지,

또는 일부러 그렇게 했는지는 모르겠지만 전체적으로 장식이 배제된 소박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왕실에서 만든 다른 사가에 비교하면 매우 소박하게 지어진 집임에는 틀림이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사가(私家)에서의 사랑채는,

바깥주인이 생활하는 공간으로의 역할만이 있는것이 아니라,

안채가 상징적인 중심역할을 한다면 사랑채는 집을 보호하고 안위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사가에서 사랑채는 출입자를 감시함으로서 외부인으로부터 안채를 보호하고 있는 구조인데, 

이 용흥궁에서는 그러한 기능이 없는 구조를 보이며, 

이곳의 사랑채는 홀로 유유자적하는 모습만을 보여줄 뿐으로,

이러한 배치를 한 것은 당연히 살집이 아닌 국왕의 권위를 세우기 위해서 세워진 건물이기 때문입니다.

 

 

 

 

 

철종의 별명인 "강화도령"은

어렸을때  이미 왕이 되지못한 왕실가족의 말로가 얼마나 비참한지 뼈저리게 느꼈고,

왕이 되어서도 안동김씨등 세도가에 휘둘려 아무것도 할수 없었던 허수아비 생활을 하였을 뿐이고,

언제 왕의 자리에서 쫓겨날지 모른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살았을것 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쌓여  한참 젊은 나이인 서른 셋에 세상을 하직한 것이라고 생각되며,

철종은 살아있는 동안에도 살아있는 것이 아니라는 깊은 회한 속에서 일생을 보낸 불행한 왕이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사랑채의 오른쪽에는,

비각으로 들어가는 작은 솟을 외문이 있고,

 

 

 

 

이곳에는 철종이 살았던 옛 집임을 표시하는 비석과 비각이 있습니다.

 

 

 

 

철종잠저구기(哲宗潛邸舊基) 비각으로,

정방형으로 정면과 측면이 각각 2.5m로, 넓이가 약 6㎡크기 입니다.

 

 

 

 

철종이 왕이되기전 강화도에 사는 동안,

혼인을 약속한 양순(또는 분이)이라는 처녀가 있었으며,

이원범(철종)은 강화도에 두고온 양순을 항상 그리워했다고 합니다.

신분의 차이로 양순과 혼인을 할 수 없게 되자 철종은 방탕한 생활을 보내게 되었으며,

그 영향으로 병을 얻어 젊은 나이에 죽게 되었다고 회자되기도  합니다.

 

강화를 여행하면서 찾았던 철종의 생가인 용흥궁으로,

고생스럽더라도 평범한 삶이 오히려 나았을 법한 철종의 생가터와 그의 이야기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