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평을 다녀 오면서, 

양평의 조용한 산골 마을  그곳에 이항로 생가(李恒老 生家)가 있다고 하여 다녀왔습니다.

"이항로"는 태고 보우선사와 몽양 어운형 선생과 함께 양평이 대표하고 자랑하는 인물 중의 하나입니다.

 

3단으로 쌓아올린 높은 축대위에 자리한,

전형적인 사대부의 고가  이항로 생가(李恒老 生家)로,

경사 지형에 터를 닦기 위해 쌓아올린 축대위에 자리하고 있어 축대의 높이 덕분에 상대적으로 집이 작아 보이기도 합니다.

 

 

 

 

생가앞에 서있는 세운지 오래지 않아보이는 비석과 기념비 입니다.

 

조선 후기의 학자 이항로(李恒老:1792-1868)는,

조선말기의 성리학자로  본관은 벽진(碧珍: 지금의 경상북도 성주)로서,

원래 이름은 광로(光老)였으나 철종이 등극하고 나서 철종 사친(私親)의 이름을 피하여 개명 하였습니다.

 

그는  일찍이 부모를 잃고 학문에 몰두하여 독학으로 학문의 경지를 이룬 인물로,

순종 8년 (1808)에 한성시(漢城試)에 합격하였으나 과거에 부정(不正)이 있음을 알게 되었고,

벼슬도 마다한채 이곳에서 평생을 보내며 학문과 제자 양성에 전념해 수많은 인재를 키워낸 유학계의 거성으로,

고종 3년(1866)에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흥선대원군에게 전쟁으로 맞설 것을 건의 하기도한 인물입니다.

사상은 주리철학을 재건한 사람 중의 하나로 조선 말기 위정척사론의 사상적 기초를 형성하였는데,

호남의 기정진(奇正鎭), 영남의 이진상(李震相)과 함께 침체되어가는 주리철학을 재건한,

조선조 말기 주리철학의 3대가의 한 사람입니다.

 

 

 

 

먼저 이항로 생가의 배치도를 살펴봅니다.

그림을 도우미로 살펴보시면 생가의 구조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생가의 사랑채 모습으로,

조선 말기의 성리학자 이항로(李恒老:1792~1868)가 살던 집으로,

이 집은 250여 년전 그의 부친이 지었는데,

한말의 거유(巨儒) 김평묵(金平默)ㆍ유중교(柳重敎)ㆍ최익현(崔益鉉)ㆍ유인석(柳麟錫)ㆍ홍재학(洪在學) 등,

많은 이들이 이항로에게 강학을 받던 곳으로  당시 선비의 살림집 모습을 잘 보여주는 가옥입니다.

 

 

 

 

사랑채옆의 대문으로 들어가 보려 했으나,

안으로 들어가는 문은 굳게 닫혀 있어서..

 

 

 

 

사랑채 뒤의 기와로 만든 낮은 굴뚝을 따라,

집을 따라 돌아가 보니 사랑채로 들어가는 또다른 통로가 있슴을 볼수가 있습니다.

 

 

 

 

잠궈져 있었던 사랑채의 대문으로 들어서면 보이는 모습으로,

대문채의 문을 들어서면 다시 안채로 들어가는 솟을 외문이 막고 서있고,

사랑채와 붙어 역 "ㄷ" 자로 꾸며진 행랑채가 오른쪽에 있으며, 

행랑채는 안 담장을 구분으로 안채와 같은 선상에 자리해 있습니다.

 

 

 

 

행랑채의 모습으로,

바깥주인이 거처하며 손님을 접대하던 사랑과 대문간에 붙어 있어,

하인들이 거처하던 행랑으로  안담장을 사이에 두고 집의 안쪽에 나란이 서있는 ㄱ자형 안채 15칸 등,

2동이 전형적인 사대부가의 주택 구조를 따르고 있습니다.

 

 

 

 

사랑채는 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예전의 모습을 고증하여 새롭게 지었는데,

구조는 자연석 주춧돌 위에 한 변에 20㎝가 안되는 네모기둥을 세우고 그 위에 3량가구를 결구한 매우 간결한 모양으로,.

이 건물은 권세있는 집처럼 안채와 사랑채를 별도로 꾸미지 않고 대청 옆 건너방에서 헛간을 지나,

다시 사랑방의 기능을 하는 마루방을 설치하여 간소하게 필요한 기능을 해결한 구조임이 특징으로,

이 건물은 향촌 사대부의 살림집에 대한 면모를 잘 보여주는 자료입니다.

 

 

 

 


안채로 들어가 보려하나,

문은 다시 굳게 닫혀있어 안담장 너머로 들여다 봅니다.

 

 

 

 

역 "ㄱ" 자로 꾸민 안채로 모두 열 칸으로 꾸며졌으며  중간에 두 칸의 마루방을 내었는데,

작은 마루가 있는 마루방은 있으나 대청이 없는점이  특이합니다.

 

 

 

 

사랑채와 안채는 같이 지은 것으로 광복 후에 헐린 것을 복원해서 지금에 이르고 있는데, 

강당은 화서선생의 강당 설립 구상에 따라 《화서집》을 참고하여 건축하였으며,

가옥의 배치는 현재 역'ㄱ'자형 안채와 역'ㄷ'자형 사랑채가 가운데 담장을 두고 가로로 긴 'ㅁ'자형 형태 입니다.

 

 

 

 

겹처마 구조의 지붕은 아니지만,

기둥에 의지해 마루쪽으로  내어진 지붕의 모습도 눈에 들어옵니다.

 

 

 

 

안채의 안방에 달린,

안주인이 사용했을 법한 부엌의 모습도 멀리서 들여다 봅니다.

 

 

 

 

밖으로 나와 대문채쪽에서 들여다보이는 안채의 안방 모습이며,

 

 

 

 

안방에 딸린 부엌의 문이 광채(창고,곳간)가 있는 뒷마당으로 통하게 열려 있습니다.

 

 

 

 

생가를 나오면 생가옆에 마치 "서원" 인듯한 건물을 볼수 있는데,

서원에서 볼수있는 배향공간과 강당 아래에 배치되는 동,서재가 없으므로,

배움을 청하는 이들이 많아서 그들을 위해 큰강당을 지은듯 한데 서당에 가까우며,

당쟁의 폐해가 많았던 서원에서 벗어나 구한말 유학교육의 발전된 모습으로 보여집니다.

 

 

 

 

벽계강당(蘗系講堂) 입니다.
생가 앞에 흐르는 계곡이 벽계천여서 그곳에서 이름을 따온듯하며,

서원의 강학당에 비해 규모가 떨어지지 않습니다.

 

 

 

 

대문인 솟을삼문과, 강학의 공간인 벽계강당(蘗系講堂), 

그리고 생가에서 바로 들어갈수있도록 배려한 작은 외삼문이 있습니다.

 

 

 

 

"임금 사랑하기를 아버지처럼 하고",

"나라 걱정하기를 내집처럼 한다" 는 애국사상과 자주의식을 강조함으로써,

조선조 말기의 민족사상인 위정척사론의 사상적 기초가 되고, 나아가서 민족운동의 실천적 지도이념으로 승화되어,

화서학파를 형성하여 의병항쟁의 사상적 기초를 다져놓았던 양평의 인물 "이항로 생가" 방문기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