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남도 홍성을 다녀 오면서,

조선 전기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인 성삼문의 유허가 있는,

홍성 성삼문 유허지(成三問 遺墟址)를 찾았습니다.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노은리에 있는 "성삼문 유허지(成三問 遺墟址)"로,

충청남도 기념물 제5호로 지정 되어 있으며,

 

 

 

성삼문(成三問) 유허(遺墟)는 그의 외가가 있던 곳으로 성삼문이 출생한 집터이며,

그의 사후에는 그를 추모하기 위해 서원이 건립된 곳으로, 

유허 안에는 사당인 충문사(忠文祠)가 있고  왼쪽 언덕에 노은단(魯恩檀)이 있으며,

입구 길가에 두 개의 비가 세워있는데 하나는 유허비로 비각으로 보호되고 있고 다른 하나는 노은서원 유허비가 있습니다.

 

 

 

삼문을 들어서면 사당인 충문사(忠文祠)가 있어,

충문사(忠文祠)라는 성삼문(成三問)의 시호(諡號)인 "충문(忠文)​"에서 따온 것이며,

이곳은 성삼문(成三問)의 외조부 박담(朴膽)의 고택이 있던 곳으로 성삼문이 출생한 곳으로 알려져 있는곳으로,

1676년(숙종 2) 사인(舍人) 이량(李湸)과 유생들이 성삼문 등 사육신의 절의와 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성삼문의 탄생지에 사우를 건립하였고,

1685년(숙종 11) 박팽년(朴彭年), 이개(李塏), 유성원(柳誠源), 하위지(河緯地), 유응부(兪應孚)를 추가 배향하였습니다.

 

 

 

1692년(숙종 18)에 조정에서는 이 사우를 녹운서원(綠雲書院)이라 명칭하고 사액하였다가,

1712년(숙종 38) 노은서원(魯恩書院)으로 개칭하였는데,

"노은(魯恩)"은 민진후(閔鎭厚, 인현왕후 오빠)와 송시열(宋時烈)이 노산(魯山)의 "노"자와 은의(恩義)의 "은"자를 따서,

동네 이름을 노은이라 했던 데에 기인 합니다.

 

 

 

노은서원(魯恩書院) 옆에는 별사(別祠)를 건립하여 성승(成勝, 삼문의 아버지)의 위패를 1687년(숙종 13)에 봉안하였는데, 

1784년(정조 8)에 성승(成勝)은 별운검(別雲劒)으로 단종복위운동에 참여했던 점이 인정되어 신원된 후 제향 되었으나, 

노은서원은 1864년(고종 1) 대원군의 서원 철폐시 훼철 되었습니다.

 

 

 

충문사(忠文祠)는 한글로 편액되어 있으며,

 

 

 

충문사(忠文祠) 사당안에는 성삼문(成三問)의 영정이 있어,

 

 

 

성삼문(成三問, 1418∼1456)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자는 근보(謹甫), 호는 매죽헌(梅竹軒)이며 수양대군이 조카 단종을 폐하고 왕위에 오르는 것에 반대하여,

세조 때 단종의 복귀를 꾀하다 죽은 사육신(死六臣) 중 한 사람으로,

세종 17년 생원시에 합격하고 식년시에 응시해 하위지와 함께 급제 했으며,

집현전학사로 뽑혀 세종의 지극한 총애를 받으면서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 직집현전(直集賢殿)으로 승진하였습니다.

세종이 훈민정음을 만들 때 정인지, 신숙주 등과 함께 이를 도와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공헌하였으며,

신숙주와 함께 명나라와 왕래하며 정확한 음운을 배우고 제도를 연구하는 등 훈민정음 반포에 큰 공헌을 했습니다.

1455년 수양대군이 단종의 왕위를 빼앗자 단종복위운동을 결심하고 세조를 제거할 계획을 세웠으나,

김질이 세조에게 이를 밀고하는 바람에 다른 모의자들과 함께 체포돼 고문을 당하고 후에 성승, 하위지 등과 함께 능지처형을 당했습니다.

 

 

 

성삼문(成三問)은 대역죄인으로 처형을 당했으나 그의 충절을 기리는 움직임은 사림을 중심으로 끊임없이 이어져,

1691년(숙종 17)에 관작이 회복되었으며, 1758년(영조 34)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충문(忠文)이라는 시호가 내려졌으며,

1791년(정조 15)에는 단종충신어정배식록(端宗忠臣御定配食錄)에 올랐습니다.

성삼문 등 사육신의 처형 후 그들의 의기와 순절에 깊이 감복한 한 의사(義士)가 시신을 거두어 한강 기슭 노량진에 묻었다고 하는데,

현재 노량진 사육신 묘역이 그곳입니다.

또한 처형 직후 전국을 돌면서 사육신의 시신을 전시할 때 그의 일지(一肢)를 묻었다는 묘가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에 있으며,

장릉(莊陵 : 단종의 능) 충신단(忠臣壇)에 배향되었으며, 강원도 영월의 창절사(彰節祠), 서울특별시 노량진의 의절사(義節祠),

충청남도 공주 동학사(東鶴寺)의 숙모전(肅慕殿)에 제향 되었으며 저서로 "매죽헌집"이 있습니다.

 

 

 

충문사(忠文祠)를 나와 왼쪽 언덕에 있는 노은단(魯恩檀)으로 향 합니다.

 

 

 

노은단으로 오르는 계단 아래에는 두기의 비석이 있어,

 

 

 

왼쪽의 1990년 6월에 세운 "성삼문 선생 사적기"로,

사적기의 글은 충남대학교 교수 "성주탁"이 지어 세웠습니다.

 

 

 

사적기 비석옆에는 고려 말 정몽주(鄭夢周)가 지은 시조 "단심가(丹心歌)"로,

태종 이방원의 "하여가"에 답해 지은 것으로 충절을 표현하는 대표적 노래 입니다.

 

 

 

노은단(魯恩檀)의 신문(神門)으로,

1945년 광복이 되자 "홍성고적현창회"에서 삼문을 개축하고 정화 하였다고 하며,

 

 

 

신문(神門)에 걸려 있는 노은단(魯恩壇)의 편액으로,
근대 서예가 장강(長江) 변수길의 글씨 입니다.

 

 

 

신문(神門)을 들어서면 담장을 두르고 위로 오르는 계단이 있어,

 

 

 

봉문의 형태를 하고 있는 노은단(魯恩檀)으로,

1864년(고종 1) 대원군의 서원 철폐시 노은서원(魯恩書院)은 철거되고,

당시 유생들이 사육신의 위패를 이곳에 매몰하고 단을 모아 "노은단(魯恩檀)"이라 하였으며 매년 음력 10월 20일에 제향을 올리고 있습니다.

 

 

 

노은단(魯恩檀)에서의 내려다 보이는 풍경으로,

화양천과 노은리 마을이 한눈에 들어옵니다.

 

 

 

"청구영언" 출전 성삼문의 절의가(絶義歌) "수양산 바라보며" 입니다.

首陽山(수양산) 바라보며 夷齊(이제)를  恨(한) 하노라

주려 주글진들 採薇(채미)도 하난 것가 비록애 푸새엣 거신들 긔 뉘 따헤 낫다니

 

 

 

성삼문의 또하나의 절의가(絶義歌)로,

봉래산 제일봉(第一峯)에 낙락장송)(落落長松)이 되어 있어

백설(白雪)이 만건곤(滿乾坤)할 제 독야청청(獨也靑靑)하리라

 

 

 

노은단에서 내려오면  유허지 입구 길가에 두 개의 비가 세워져 있어,

하나는 유허비로 비각으로 보호되고 있고 다른 하나는 노은서원 유허비로,

 

 

 

성삼문 선생 유허비 (成三問先生遺墟碑)로,

비석의 상단에는 큰 글씨로 "성선생유허비(成先生遺墟碑)"라고 새겨져 있습니다.

유허비란 옛 선현의 자취가 있는 곳을 후세에 전하고 이를 계기로 그를 추모하기 위해 세워두는 비로,

이 비는 조선시대 전기의 문신이면서 사육신의 한사람인 성삼문(1418∼1456)의 공적을 적고 있는데,

조선 현종 9년(1668) 그가 태어난 이곳에 홍주관찰사 민유중이 비석 건립을 추진하여 비를 세워 두었으며,

비문은 송시열이 짓고, 글씨는 김진상(金鎭商)이 썼으며, 뒷면은 윤봉구가 글을 짓고, 이기진이 글을 썼다고 적고 있습니다.

 

 

 

충청남도 문화재 자료 제164호로 지정된,

성삼문 선생 유허비 (成三問先生遺墟碑) 후면에는 편액이 걸려 있어,

 

 

 

유허비(遺墟碑)와 관련된 편액으로 보이나,

편액에 대한 안내문도 없으며 희미하여 알아 보기 어렵습니다.

 

 

 

조선 전기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인 성삼문(成三問)을 돌아 볼수 있으며

인근에 최영장군 사당이 있으며 엄찬고택이 가까이 있어 함께 돌아 볼만한 곳으로,

충남 홍성을 다녀오면서 찾았던 "성삼문 유허지(成三問 遺墟址)"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