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함양(咸陽)의 문화재 탐방에서,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에 있는 누각 "학사루(學士樓)"를 찾았습니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90호로 지정된 학사루(學士樓)로,

누각은 남면(南面)하고 있으며 정면 5칸, 측면 2칸의 2층 팔작지붕 건물로 주위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을 둘렀으며,

현재는 함양군청 정문 앞에서 찾을수 있습니다.

 

 

 

학사루(學士樓)는 어느 때 지어졌는지는 알수 없으나,

일설에 의하면 최치원(崔致遠)이 함양태수(咸陽太守)로 있을 때 창건하여 자주 올랐으므로,

학사루라 이름하였다고 하여 통일신라시대에 지은 것으로 추정되며,

원래는 관아에 딸린 건물로서 옆에 객사가 있었고 동쪽에는 제운루(齊雲樓), 서쪽에는 청상루(淸商樓), 남쪽에는 망악루(望嶽樓)가 있었다고 전하며,

1380년(우왕 6) 왜구의 노략질에 의하여 관아와 함께 불타버렸으며,

1692년(숙종 18)에 중수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1910년경부터 함양국민학교 교사로 쓰여오다가,

1963년부터는 군립도서관으로 쓰였으며 1978년 겨울에 지금의 위치로 옮겼습니다.

 

 

 

학사루(學士樓)의 현판이며,

 

 

 

신라의 역사서인 국사(國史)에 의하면 "고운이 벼슬을 버리고 가야산(伽倻山)에 들어갔다가,

하루아침에 관(冠)과 신을 숲 속에 벗어 버리고 훌쩍 떠나, 어디 가서 생을 마쳤는지 알지 못한다 했다.

그러므로 세상에서는 고운이 도를 얻어 신선이 되었다고들 하는데, 이 고을에 있을 때를 두고 한 말이다.

고운을 사모하는 고을 사람들은 그를 사후의 호칭인 최 문창후(崔文昌侯)라 부르지 않고 반드시 생전의 호칭인 학사(學士)라 불렀으며,

관직을 떠났을 때의 이름인 고운이라 부르지 않고 반드시 그의 관직을 불렀으며,

송덕비를 세우지 아니하고 오직 누각에다 이름을 붙였다.

그러므로 누각의 이름을 학사루(學士樓)라 한 것은 그 유래가 오래되었다고 하겠다."라고 전하고 있습니다.

 

 

 

자연석 주초위에 기둥을 올려둔 모습을 들여다 보고,

 

 

 

나무 계단을 통하여 누각의 마루로 올라 봅니다.

 

 

 

학사루(學士樓)는 이건한지 오래지 않아서인지

새로한 단청은 깔끔하지만 옛맛은 덜하며,

 

 

 

엣 마루를 대하니 마루에서 누워서 즐기는 시원한 낮잠의 유혹이 부릅니다.

 

 

 

누각에는 의외로 1979년의 "학사루 이건기(學士樓 移建記)"만 보이고,

유서깊은 누각 임에도 시판이나 다른 기문은 찾을수 없어 고개를 갸웃 거리게 합니다.

 

 

 

이곳 학사루(學士樓)에는 현판과 관련한 이야기가 있어, 

영남학파의 거두 김종직(金宗直)이 함양군수 재임시 학사루에 걸려 있던 유자광(柳子光)의 시를 철거시킨 것이,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士禍)의 한 원인이 되었다는 말도 전하는데,

조선 초기 영남 사림파의 종사(宗師)로 명성이 높았던 김종직(金宗直, 1431~1492)이 함양군수로 부임하여 학사루에 올랐는데,

그때 고향이 남원인 유자광(柳子光, ?~1512)이 함양에 놀러왔다가 써서 걸어놓은 현판을 보고,

“어찌 이 따위가 여기에 시를 걸 수 있는가”라고 호통치며 현판을 떼어 불태워 버렸고,

이 소식을 들은 유자광은 속으로 분을 삼키고 보복의 그날을 기다렸다고 합니다.

유자광은 부윤 벼슬을 한 집안의 서자로 태어나 궁궐문을 지키던 일개 갑사(甲士)였으나,

이시애의 반란 때 자청하여 싸움터에 나간 뒤부터 출세의 길을 걸었으며, 남이장군 등을 역모로 무고해 그 공으로 군(君)에까지 올라 거들먹거린다 하여,

눈총을 받던 인물이며 학사루에서 일어난 이 현판사건은,

1498년 발생한 사림파(士林派)가 훈구파(勳舊派)에게 죽임을 당하는 무오사화의 불씨가 되었습니다.

 

 

 

학사루(學士樓)와 관련한 김종직의 시(詩) 두편을 가져와 봅니다.

학사루 아래 매화가 처음 피었으므로 병중에 두 수를 읊다(學士樓下梅花始開花病中吟得二首) / 김종직(金宗直 1431∼1492)

 學士樓前獨立仙    학사루 앞에 홀로 서 있는 신선이여

相逢一笑故依然    서로 만나 한번 웃으니 예전 그대로일세

肩輿欲過還攀慰    견여 타고 지나려다 다시 잡고 위로하노니

今歲春風太劇顚    금년엔 봄바람이 너무도 거세게 부는구나

春慵和疾過淸明     춘곤에다 병까지 겹쳐 청명을 지내노니

官況愔愔睡易成      벼슬살이 조용하여 잠 이루기도 쉬워라

吟到梅邊幽興動    매화 곁에 가서 읊다 그윽한 흥치 일어나자

吏胥爭道使君醒    이서들이 서로 사군이 깨었다고 말하네

 

 

 

학사루의 못가에 철쭉꽃이 활짝 피다[學士樓池上躑躅盡開] / 김종직(金宗直 1431∼1492)

閑搜老物小園中    작은 동산에서 한가히 노물을 탐색하며

徙倚幽欄曲沼東    굽은 못 동쪽에서 그윽한 난간 기대있노니

千柄芙蕖俱已倒    천 줄기 연들은 이미 모두 사그라졌는데

兩株躑躅忽能紅    두 그루 철쭉꽃은 갑자기 붉게 피었네

似從黃菊爭時令    마치 국화를 따라서 절기를 다투는 듯 하나

可怕靑姨弄化工    서리 귀신이 조화를 희롱할까 두려웁구려

聞說神京更融煖    들으니 서울에는 일기가 다시 따뜻해져서

桃梨櫻杏幻春風    복숭아 배 앵두 살구가 춘풍에 변환했다네

 

 

 

학사루(學士樓)의 마루에서 잠시 머물다 나무계단을 내려갑니다.

 

 

 

학사루 앞에는 석등이 있어,

옛것에다 없는부분을 맞춘듯 하며  비지정 문화재인 함양 학사루 석등 입니다.

 

 

 

통일신라때 최치원(崔致遠)의 휴허가 있고,

조선조에는 김종직(金宗直)의 무오사화(戊午士禍) 이야기가 전하는 곳으로,

경남 함양의 누각, 학사루(學士樓)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