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의 청풍문화재단지(淸風文化財團地)를 돌아 보며,

청풍문화재단지내에 있는 조선 시대 전통 가옥 "제천 지곡리 고가(堤川 池谷里 古家)"를 살펴 봅니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89호 제천 지곡리 고가(堤川 池谷里 古家)로,

청풍문화재단지(淸風文化財團地)에서 수몰 이건된 고택들이 한곳에 모여있는 반면에 지곡리 고가는 조금 떨어진곳에 자리해 있습니다.

 

 

 

기와담장을 두르고있는 초가지붕의 대문채를 들어서면,

지곡리 고가(堤川 池谷里 古家)는 " ㄱ"자형 안채와 " ㅡ"자형 사랑채, 행랑채 3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문간을 들어서면 내외벽을 설치하여 대문을 통해 안채가 들여다보이지 않도록 고려 하였으며,

 

 

 

대문을 들어서면 먼저 보이는 행랑채로,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대문간 우측으로 외양간, 방앗간을 두고 그 상부는 다락으로 꾸몄으며..

 

 

 

건물 구조는 자연석 기단 위에 자연석 주추를 놓고 그 위에 방형 기둥을 세웠다.

가구 형식은 3량가인데, 보와 서까래 등의 가구 부재는 자연재를 거칠게 치목해서 사용하여 초가지붕과 잘 어울리는 자연스런 멋을 느낄 수 있습니다.

 

 

 

행랑채의 외벽 처마아래에서 알자리 둥지의 모습을 볼수있고,

 

 

 

안채는 기와집으로 되어 있고 사랑채와 행랑채는 초가집으로 되어 있는데,

안채와 사랑채 사이에는 목조 판벽을 설치하여 사랑채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조성한 점이 특이하며..

 

 

 

행랑채의 대문 칸과 안채의 사랑방 사이에는 일각문과 목조 판벽으로 만든 담장을 설치하여 사랑채와 안채의 경계를 구분하고 있으며,

담장은 행랑채의 기둥에서 상하 인방을 가운데 있는 일각문 기둥 사이에 걸고 판재로 외벽을 막았고,

일각문은 지붕을 담장보다 한 단 높게 구성하고 서까래를 걸어서 기와를 올렸습니다.

 

 

 

일각문을 들어서면 안채가 있어,

안채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몸채에 안방 전면으로 익랑을 달아 "ㄱ"자형의 평면을 이루고 있으며,

몸채는 가운데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좌우에 사랑방과 안방을 배치하고,

안방 전면으로 부엌과 광[고방]을 연결한 평면으로 구성 하였으며,

부엌 앞의 고방은 식료품을 저장하는 공간으로, 부엌과 고방 사이에 판자벽을 둘렀는데 이러한 기법은 오래된 집에서만 볼 수 있는 양식입니다.

 

 

 

지곡리 고가(池谷里 古家)는 제천 수산면 지곡리에 있던 옛 집으로,

강부원(姜富遠) 가옥을 충주댐 건설에 따른 수몰로 인하여 1985년 현재 위치로 이건 하였으며 고가(古家)가 언제 지어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안채의 방을 들여다 보니 옛날집 치고는 방이 제법 큰편이며..

안채의 기단은 자연석을 두벌대로 쌓고 자연석 초석을 놓았고 기둥은 방형 기둥을 그렝이질하여 세웠으며,

 가구 형식은 대청마루가 있는 몸채는 1고주 5량가로 짜고, 익랑으로 연결된 부엌과 광은 5량가로 구성 하였습니다.

 

 

 

익랑으로 연결된 부엌의 내부를 들여다 봅니다.

이곳 가옥의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며 집안에는 수몰 전에 사용하던 가재 도구 및 농기구를 전시하여 당시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게 하였습니다.

 

 

 

부엌 앞에는 우물마루를 깐 고방을 두어 식품을 저장하는데 이 집의 부엌과 고방에는 판자벽을 둘러져 있어,

이런 기법은 건축연대가 오랜 집에서만 볼 수 있는 것으로 이 집의 역사를 가늠해볼 수 있으며,

행랑채 주위에는 담장을 둘러 바깥마당과 구분하였으며 안채와 곳간채 사이에도 담을 둘러서 안마당과 구분해 두었으며,

 

 

 

지곡리 고가(池谷里 古家)는 우리나라 전통가옥의 효율성과 기능성을 살펴볼 수 있는 가옥 이기도 합니다.

 

 

 

사랑방 측면에는 쪽마루를 달아내어 사랑채로의 출입을 연결하고 있으며,

대청마루 뒤쪽에는 쪽마루, 안방 측면에도 툇마루를 설치하였는데 사랑채는 정면 3칸, 측면 1칸으로,

안채의 사랑방을 바라보도록 세워져 있으며 평면은 2칸의 방과 1칸의 광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곡리 고가( 池谷里 古家)는 이건 전에는 안채 뒤쪽에 사랑채가 있었으며,

안채의 북쪽 경사진 곳에 대지를 1단 높여 사당을 두었었다고 하나 현재는 없으며,

행랑채도 이건 전에는 시멘트 기와집이었으나 이건 하면서 고증을 거쳐 원형에 맞도록 초가로 바꾸었다고 합니다.

 

 

 

행랑채에서 보이는 안채쪽의 모습으로,

건물 구조는 안채보다 낮게 자연석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자연석 초석을 놓고 방형 기둥을 세웠으며,

가구는 3량가 형식으로 완만한 물매를 이루고 있는데 두터운 초가 적새와 이엉잇기로 지붕 모양을 만들었고,

방의 측면 기단에 아궁이가 설치되어 있어서 하인방을 기둥 하단에서 높게 걸고 구들을 놓았습니다.

 

 

 

안채의 뒤편에서 대청마루를 통하여 지곡리 고가(池谷里 古家)의 구조를 알수 있으며,

 

 

 

안채 뒤에 사랑채가 있었지만 지금은 흔적만 남아있으며 건넌방이 사랑채의 기능을 대신하고 있는데,

안채의 사랑방 앞 기단 끝에는 지대석 위에 신방목을 놓고 담장 기둥을 세웠으며,

담장의 지붕 가구는 각서까래를 수평으로 걸고 지붕 속에 적심재를 채워서 기와물매를 잡아두어,

이러한 일각문과 담장 구조는 다른 민가에서 흔히 볼수없는 특이한 형식입니다.

 

 

 

청풍문화재단지(淸風文化財團地)들 돌아보며 찾았던,

청풍문화재단지내에 있는 조선 시대 전통 가옥의 또다른 특징을 찾아볼수 있는곳으로, 

"제천 지곡리 고가(堤川 池谷里 古家)"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