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남해군 고현면 차면리에 있는 조선시대의 유적지로,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南海 觀音浦 李忠武公 遺蹟)"을 찾았습니다.

 

"남해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南海 觀音浦 李忠武公 遺蹟)"은,

정유재란 말기에 관음포 앞바다에서 전사한 이순신의 우국충정을 기리기 위해 조성한,

충무공 이순신 관련 전몰유허로 대한민국의 사적 제232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남해대교에서 남해읍 방향으로 4km 정도 들어오면,

관음포 이충무공 전몰유허가 자리하고 있는데,

주차장에서 유허지로 가는길목에는 거북선의 형상을 한 "이순신영상관"도 볼수 있으며,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은 이순신(李舜臣)이 전사한 관음포 앞 바다를 배경으로 조성 되었는데,

관음포는 이락파(李落波)와 노량(露梁)을 연결하는 해역(海域)으로,

정유재란 때의 마지막 격전지로 이순신 장군이 최후의 해전을 치른 곳이며,

 

 

 

 

달아나는 왜장 소서행장(小西行長)를 추격하다가 이순신이 유탄에 맞아 장렬한 최후를 마친 곳으로,

이락사(李落祠)는 노량해전을 승리로 이끌고 전사한 이순신장군의 유해가 맨처음 육지에 오른곳이며,

후대의 사람들은 이곳을 "이순신이 순국한 유서깊은 곳"이라 하여 "이락파(李落波)"라고 불렀고,

돌출한 작은 곶도(串島)를 "이락산(李落山)"이라 하여 이순신의 충성을 추모하였습니다.

 

 

 

 

1598년(선조 31) 11월 9일에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과 명나라 수군은,

소금도(召今島)를 출발해 남해안의 왜적을 완전히 소탕하면서 동진 하다가,

동년 11월 19일 아침에 이곳 관음포에서 최후의 결전을 벌였고,

 

 

 

 

왜적은 서둘러 퇴각을 하다가,

뱃길이 막히는 관음포로 쫓겨났는데,

여기서 그들은 남으로 빠져나가고자 하였기에,

결국 관음포 전투는 근접전으로 벌어지게 되었으며,

이 때 이순신은 한 척의 왜적 전선도 돌려보내지 않으려고,

친히 진두에 나서 군사들의 사기를 북돋워 왜선 200여척을 침몰시켰으나,

이 치열한 전투에서 이순신은 적의 유탄을 맞아 전사 하였으며,

그는 죽기 전에 아군의 사기를 위해 “나의 죽음을 알리지 말라!”는 유언을 남긴곳 이기도 합니다.

 

 

 

 

주차장에서 숲길을 따라 조금 들어오면,

이순신을 제향하는 "이락사(李落祠)"가 있어,

이곳은 순국한 지 230년이 지난 1832년(순조 32)에 그의 8대손 이항권(李恒權)이 통제사로 부임하면서,

왕명에 따라 단을 설치하고 제사를 지내던 사당이며,

 

 

 

 

이락사(李落祠)의 현판은 박정희 전대통령의 필체로 알려져 있으며,

 

 

 

 

이락사에는 "충무공유허비(忠武公遺墟碑)"가 있는 비각이 있어,

충무공묘비각(忠武公墓碑閣)으로,

 

 

 

 

비각 앞에는 박정희 전대통령의 글씨인 "대성운해(大星隕海)"의 현판이 있어,

대성운해(大星隕海)은 "큰별이 바다에 지다" 라는 의미이며,

 

 

 

 

비석은 높이 1.9m, 너비 0.73m 규모이며,

이 충무공의 진충보국(盡忠報國)의 뜻을 기리는 비석으로,

1832년 홍문관 대제학 홍석주(洪奭周)가 짓고 예조판서겸 예문관 제학 이익회의 글씨로,

 

有明水軍都督朝鮮國三道水軍統制使 贈 유명수군도독조선국삼도수군통제사 증

議政府領議政諡忠武李公舜臣遺墟碑 의정부영의정시충무이공순신유허비

명의 수군도독으로 조선의 삼도수군통제사이며,

의정부 영의정으로 관직을 추증하고 충무 시호를 받은 이순신의 유허비 입니다.

 

 

 

 

옆에는 근자에 세운듯한 이충무공 사적비도 함께 있어,

이곳의 비석은 비각안 충무공유허비(忠武公遺墟碑)의 복제품으로,

비의 내용을 해석해둔 안내문과 함께 두어 비각안 비석의 이해를 돕고 있으며,

 

 

 

 

순국한 이순신의 공적과 충성을 기리고 있는 이락사(李落祠)를 나와,

 

 

 

 

담장을 따라 첨망대로 향하는 길을 잡아 봅니다.

 

 

 

 

비각에서 첨망대까지 연결된 솔밭길은 500m에 이르는데,

길의 좌우에는동백나무가 도열해 있고 솔가지 사이로 보이는 바다가 정취를 더하며,

 

 

 

 

1991년에 세운 첨망대(瞻望臺) 누각으로,

관음포가 바라보이는 이곳은 삼도수군통제사 충무공 이순신 장군께서,

임진왜란 7년 전쟁중 노량해전에서 순국하신 곳으로,

이락산 마지막 지점(500m)에 첨망대를 세워 이충무공이 순국한 지점을 바라볼 수 있게 해두었으며,

 

 

 

 

첨망대(瞻望臺)의 현판이며,

 

 

 

중층인 누각의 마루에 오르면,

천정에는 여러 편액들이 올려져 있어,

 

 

 

 

시판(詩板)들은 곁에 한글로 번역해둔 안내문이 있어 알아보기 편하며,

 

 

 

 

2기의 기문(記文) 편액도 올려져 있습니다.

 

 

 

 

첨망대(瞻望臺)에서 주변을 돌아보면,

 

 

 

 

남해의 한려수도 바다 건너에는 광양제철이 보이는데,

이곳 일대에서는 이충무공 순국 400주년이 되는 날,

남해군은 추념식 행사로 노량해전을 재연하기도 했다고 하며,

 

 

 

 

이곳 관음포만은 몽골의 침략을 부처님의 가호로 물리치기 위해,

고려 팔만대장경의 판각을 위한 치목(治木) 장소로도 알려져 있으며,

고려 말 왜구를 물리친 4대첩 중 하나인 정지 장군이 대승한 "관음포 대첩"의 현장이기도 하며,

임진왜란 7년 전쟁의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에서 이순신 장군이 순국한 호국의 성지 입니다.

 

 

 

 

우리나라의 남해안을 다녀보면,

이충무공과 관련한 유적지들을 여러곳에서 만나볼수 있는데,

400여년전 노량해전과 이순신의 마지막 까지의 우국충정을 되새겨 볼수 있고,

충무공 이순신 관련 전몰유허를 돌아볼수 있는곳으로,

경남 남해의 "관음포 이충무공 유적(觀音浦 李忠武公 遺蹟)" 입니다.

 

 

다음검색

저작자 표시 컨텐츠변경 비영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