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적 제214호 이며,

경상남도 산청군 금서면에 있는 삼국시대의 유적인,

전 구형왕릉(傳 仇衡王陵)을 소개 합니다.

 

가야 10대 임금인 구형왕의 무덤으로 전해지고 있는 돌무덤으로,

구형왕은 구해(仇亥) 또는 양왕(讓王)이라 하는데 김유신의 할아버지이며,

521년 가야의 왕이 되어 532년 신라 법흥왕에게 영토를 넘겨줄 때까지 11년간 왕으로 있었는데,

이 돌무덤은, 가락편년기(駕洛編年記)에 신라 법흥왕 19년(532년)에,

구형왕이 방장산(方丈山)의 태왕궁(太王宮)에서 돌아가시자 시호(諡號)를 양왕(讓王)이라 하였다고 하여,

가락국 제10대 양왕의 능으로도 전하며,

양왕은 신라왕의 싸움에서 패하여 전사하였다고도 전하기도 합니다.


이 무덤은 형식이 일반 분묘들과 달리 각 층이 단을 이루고 있는 방형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흘러내리는 경사면에 잡석으로 축조하였으며,

전면은 7단을 이루고 있으나 후면은 갈수록 경사가 커져서 각 층의 등급이 높이에 따라 줄어들고 있는 형상으로,

석렬은 전면에서도 직선이 아닌 곡선을 이루고 있으며,

모퉁이가 뚜렷하지 않고 정상은 봉분과 같이 타원의 반구형을 이루고 있는데,

전면 중앙에서의 높이는 7.15m이고 무엇을 위한 시설인지는 알 수 없으나,

제4단의 동쪽에 폭 40㎝, 높이 40㎝, 깊이 68㎝의 감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돌무덤을 중심으로 같은 잡석으로 높이 1m 내외의 담을 쌓고,

전면 중앙에는 '가락국양왕릉(駕洛國讓王陵)'이라고 새긴 비석이 서 있으며,

그 앞에 상석과 장명등이 있고, 좌우에는 문인석·무인석·석수가 각각 1쌍씩 있는데,

이 석물들은 최근의 시설물들로 돌무덤과는 시대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이곳의 돌무덤을 둘러싸고 종래에는 석탑이라는 설과 왕릉이라는 두 설이 제기되어 왔는데,

먼저 이것을 석탑이라고 보는 것은,

이와 같은 형태의 요구가 안동과 의성지방에 분포되어 있다는데 근거를 두고 있는 것이며,


이것을 왕릉이라고 하는 근거는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의 산음헌 산천조에,

"왕산(王山)"이 있고 그 각주(脚注)에 "현의 40리 산중에 돌로 쌓은 구룡이 있는데,

4면에 모두 층급이 있고 세속에는 왕릉이라 전한다."라는 기록에 근거 한다고 하며,

 

그래서 사적명도 "구형왕릉"이라고 확정적으로 칭하는 것이 아니라,

"전(해지기로) 구형왕릉"으로명명 되었다고 합니다.

 

가야제국의 마지막 역사를 살펴볼수 있는곳으로,

산청의 문화재인 "전 구형왕릉(傳 仇衡王陵)" 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