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경주시 배반동의,

남산 미륵곡 기슭의 보리사(菩提寺)에 있는 고대/남북국시대인 통일신라의 석조여래좌상인,

"미륵곡 석불좌상(彌勒谷 石佛坐像)"을 찾았습니다.

 

경주 남산 미륵곡 석불좌상(慶州 南山 彌勒谷 石佛坐像)은,

보물 제136호이며 보리사지 석불좌상(菩提寺址 石佛坐像)이라고도 불리며,

 

 

 

 

근자에 다시 재건 한듯한 "보리사(菩提寺)"를 찾으면,

 

 

 

 

사찰의 왼쪽 윗쪽에 있는 삼성각의 뒤편에 있어,

 

 

 

 

신라시대의 보리사터로 추정되는 곳에 남아 있는,

전체높이 436cm에 상높이 244cm의 석불좌상으로,

흔히 보리사 석불좌상이라고도 하며 경주 남산에 있는 신라시대의 석불 가운데 가장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는 석불로,

 

 

 

 

원래는 법당에 봉안되어 있었을 것이나 현재는 노천에 드러나 있는데,

광배 윗부분에 금이 가고 대좌도 깨어진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보존 상태는 비교적 좋은 편이고,

머리 크기에 비해 어깨와 무릎의 폭이 좁고 몸체의 볼륨감이 빈약하여,

전체적으로 왜소하면서 불안정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이곳의 석불좌상은,

전반적으로 양감이 줄어들었으나,

머리가 크고 얼굴표정이 부드러운 점 등에서,

통일신라시대 불상의 양식을 어느 정도 간직하고 있으며,

불산은 8각(八角)의 연화대좌에 있는데,

상대와 하대에 앙련(仰蓮)과 복련의 연꽃무늬가 조각되어 있고,

중대의 각 모서리에는 기둥 모양이 새겨져 있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이며,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한 머리에는 커다란 육계(肉髻)와 나발(螺髮)이 표현되어 있고,

둥근 얼굴에 온화하게 미소를 띤 얼굴표정에서 부처의 깊은 자비심과 위엄이 느껴 지는데,

광배는 두광과 신광(身光)이 연결되어 몸체를 감싸고 있으며,

앞면에는 화불(化佛)과 꽃무늬가 광배 안쪽을 장식하고 밖으로는 섬세한 불꽃무늬가 표현 되었고,

 

 

 

 

법의는 통견(通肩)이며 드러난 가슴 위로 비스듬히 입은 내의가 보이는데,

왼쪽 어깨 위에 걸쳐진 대의 끝단에는 약간의 주름이 표현 되었고,

오른쪽 어깨에서 내려오는 옷자락이 가슴부분의 옷깃 속으로 살짝 접혀들어간 것이 특징이며,

 

 

 

 

법의의 옷주름은 약간 복잡하게 크고 작은 여러 층의 단으로 이루어졌으며,

결가부좌한 다리 밑으로 보이는 부채꼴 모양의 주름 표현이나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의 손 모양은,

경주 석굴암 본존불의 형식을 그대로 따르고 있으나,

석굴암 본존상에 보이는 넓게 편 가슴과 당당하게 앉아 있는 자세에서 느껴지는 위엄이나 긴장감은,

이 석불좌상에서는 감소 되었습니다.

 

 

 

 

석불좌상의 뒷면에도 희미하지만 무엇인가 조성되어 있는것이 보이는데,

 

 

 

 

광배 뒷면에는 모든 질병을 구제한다는,

약합을 든 약사불좌상(藥師佛坐像) 1구가 선각에 가까운 얕은 부조로 조각되어 있는데,

이러한 형식은 보물 제493호인 밀양의 "무봉사석조여래좌상(舞鳳寺 石造如來坐像)"이나,

경북대 소장의 광배 등에서만 볼 수 있는 특이한 예 이며,

오른손은 시무외인(施無畏印)을 하고 있습니다.

 

 

 

높다란 육계, 눈·코·입이 정제된 세련된 얼굴, 당당한 신체로,

8세기 불상의 세련된 불격(佛格)을 사실주의 조각으로 성공시킨 당대의 역작으로 높이 평가되는 불상으로,

경주 남산 미륵곡 기슭의 보리사(菩提寺)에 있는 "미륵곡 석불좌상(彌勒谷 石佛坐像)" 입니다.

 

다음검색

저작자 표시 컨텐츠변경 비영리

+ Recent posts